블로그 이미지
K's blog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59)
Welcome to K's Blog (25)
K's America Life (20)
Study hardly!!!! (8)
Flex 공부 (1)
Android 공부 (4)
Twitter4J (2)
Total
Today
Yesterday

'Study hardly!!!!/Twitter4J'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0.10.27 Twitter4J로 Twitter API 사용하기 step-2
  2. 2010.08.03 Twitter4J로 Twitter API 사용하기 step-1.
step-1을 올린지 한참이 되어서 포스팅.....
파워 블로거 되기는 쉽지가 않군요;; ㅋ


굳이 step-1을 정리해 보자면, 

 1. dev.twitter.com에 들어가서 API를 찾아 Application을 등록.
 2. Twitter4j 페이지에서 jar 파일 얻어오기.
 3. Eclipse와 Java 설치해 두기.


이쯤으로 나눌 수 있겠네요!!
프로그래밍 하시는 분들이라면 필요한건 1, 2번이 전부일꺼 같네요.

이제 Twitter4j에서 받아온 jar 파일을 Eclipse에서 사용하기 위한 준비를 해야 할꺼 같네요.

우선 Eclipse에서 Dynamic Web Project를 Twitter라고 만들어 보겠습니다.


1. Dynamic Web Project를 새로 만든다.




2. Project name을 Twitter로 만들자.


3. Dynamic Web Project로 파일을 만들면 다음과 같은 Project Explorer를 보실 수 있습니다. (Eclipse helios 버전.)




여기서 Apache 연동과 관련된 부분은 제외 하겠습니다.
(구글링을 보시면 더 많은 자료가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위와 같은 화면에서 가장 먼저 해주어야 할 일은 Library를 추가해 주는 것입니다.
미리 Download 받아놓은 twitter4j-core-2.1.3.jar 파일을 추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우선 Twitter 프로젝트를 우클릭 하여서 Properties를 들어갑니다.



2. 좌측의 Java Build Path를 선택 후 Libraries Tab으로하여 Add External JARs... 를 선택 후  
   "twitter4j-core-2.1.3.jar"  파일이 있는 폴더에 들어가 파일을 추가해 줍니다.



3. 추가된 jar 파일이 Libraries 텝에 보이게 됩니다.





위와 같이 Properties를 통해서 추가해준 jar 파일을 WEB-INF -> lib 폴더에도 추가해 줍니다.
(Eclipse에 보이는 폴더에 드레그 해서 추가해 주어도 되고, 실제 lib 폴더에 들어가 추가해 주어도 됩니다.)



이제 twitter4j의 API를 사용할 수 있게 준비가 완료 된거 같습니다.




얼마 전부터 Twitter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Oauth 인증을 거쳐야 가능하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OAuth에 관한 내용도 설명해 드리고 싶지만, 저 역시 완벽히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관련 부분에 대한 자료는 Google에 검색 혹은 링크를 검색해 보시길 바라겠습니다.





OAuth는 OpenAPI를 사용하기 위한 인증방식 중 하나라고 생각하시는게 편하실 꺼 같습니다.
공개된 API를 사용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서비스로, 
OpenAPI 서비스를 제공하는 Application이 다른 Application에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암호화 해서 사용하게 끔 해놓은 것이라고 설명드리고 싶네요.... (정확히는 아니지만 저 나름대로의 정리였습니다... ^^;;)
Twitter API를 사용하기 전에 한번 숙지해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twitter4j를 사용하기 위한 준비가 끝났기 때문에.......
다음번 step에서 OAuth와 함께 Twitter에서 Timeline을 불러오는 예제를 실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Study hardly!!!! > Twitter4J' 카테고리의 다른 글

Twitter4J로 Twitter API 사용하기 step-1.  (0) 2010.08.03
Posted by K's blog
, |

트위터를 사용하는 개발자 분들이라면 한번쯤은 생각해 보셨을...
Twitter OpenAPI를 공부해 볼까 했습니다.

저도 문득, 사용하는 Twitter의 OpenAPI의 내용을 듣고는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
스스로 공부하면서 블로깅을 해보면 어떨까 싶어서 이렇게 글을 쓰고있네요;;;

어디까지 쓸지는 미지수이지만.....ㅋㅋㅋ

Twitter의 OpenAPI를 사용하기 위해서 twitter에 접속을 하고 API관련된 내용을 찾아보았습니다.
우선 Twitter API는 화면의 맨 아래 부분인 footer 쪽에 배치되어있네요...



footer의 API를 클릭하시거나, twitter 개발자 페이지인 dev.twitter.com으로 직접 들어가셔도 됩니다.

접속을 하시고 보면 다음과 같은 메인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Simple한 메인 디자인이네요!

위 페이지를 살펴보시면 중간 즈음에 Get Started와 Register an app 이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시간이 되시는 분들은 가셔서 한번 읽어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으실꺼 같네요!! (영어 울렁증 주의요!!! @_@)

아무래도 위 개발자 페이지를 통해서 뭔가를 해야만 할 듯합니다!!
하지만 지금 당장에 무엇인가를 하기에는 너무 이르고요...

우선 Twitter4J를 바로 사용하기 보다는 사용을 위한 준비를 하기 위한 단계이므로, 
실제로 해보는 것 보다는 어떤 준비를 해야할 지 알아보도록 하죠!!

저는 이번 Twitter API를 Java와 Eclipse를 통해 사용할 예정이기에 Twitter4J를 선택했습니다.
기다 다른 언어를 사용하기 위한 분들은 구글에서 " Twitter API " 라고 검색해 보시면 
기타 다른 언어에 대한 내용도 찾으실 수 있습니다.


먼저 간단하게 Twitter4J를 사용하기 위한 준비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Twitter4J는 Java로 이루어진 라이브러리입니다. 
페이지 Url은 http://twitter4j.org/ 로 접속하시면 되고, 실제 지금의 페이지는 다음과 같네요.




첫 화면에 Introduction을 통해서 어떤 것인지 간단히 소개를 하고 있고, 
시스템 요구사항 및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을 해주고 있네요.

좌측 상단에 Main을 선두로 밑에 여러 Navigation들이 위치해 있는데, 
여기서는 그닥 큰 영어 울렁증을 느끼지는 않는거 같네요. ㅋ


첫 페이지에 나오는 내용은 Main의 하위 목록들이 주루룩 나와있는 것입니다. 말그대로 메인페이지네요.

직접 다 설명을 드릴 수는 없지만, Download를 통해서 Jar 파일을 다운 받으 실 수 있습니다.
다운 버전은 현재 2가지가 있는데, 페이지를 찾아 가셔도 되고, 
링크를 따라서 다운만 받으셔도 무방하시겠습니다.




실제로 다운을 받으실때는 페이지에 가셔서 직접 읽어보시고 확인하신 수 다운받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위의 압축 파일을 압축 해제 하면 그 안에 jar파일을 찾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2.1.3을 예로 들고 있습니다.)
『 twitter4j-core-2.1.3.jar 』 파일을 Eclipse에서 특정 프로젝트에 추가하여 사용할 예정이므로 잘 저장해 둡니다.


다음은 Twitter4J에 대한 사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봐야 할텐데요, 
실제로 웹 페이지에 내용이 나와 있기는 하지만....

저는 영어 울렁증을 피해가기 위해서 엄청난 구글링을 하였고, 
여러자료를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직접 다른 Blog의 내용을 퍼오기는 죄송하기에, 
구글링으로 검색했던 검색어를 적어놓을테니 필요하신분들은 검색해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우선은 Twitter4J를 더 연구해 봐야하므로, step-1에서는 여기까지만 블로깅 하고, 
실제로 공부 한 뒤에 사용한 다음 차차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공부해보아요!! 



'Study hardly!!!! > Twitter4J' 카테고리의 다른 글

Twitter4J로 Twitter API 사용하기 step-2  (0) 2010.10.27
Posted by K's blog
, |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